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모르면 손해인 경제 정보116

종합소득세 복식부기의무자 간편장부대상자 기준경비율 단순경비율 추계신고 기준 개인사업을 운영하시는 분들은 매년 5월에 사업소득에 대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직전연도 사업소득에 따라 기장의무와 추계신고 시 적용할 경비율이 달라지게 됩니다. 오늘은 복식부기의무자와 간편장부대상자, 기준경비율과 단순경비율 적용자의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추가로 복식부기의무자와 간편장부대상자가 추계신고를 하였을 때의 장단점에 대해서 비교해보고자 합니다.   기장의무와 추계신고 기준1. 복식부기 작성 대상자아래 표에서 업종별 수입금액이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복식부기 작성 대상자입니다.업종구분수입금액 기준농업·임업 및 어업, 광업, 도매 및 소매업(상품중개업 제외),부동산매매업,아래에 해당하지 않는 사업3억원 이상제조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2024. 5. 10.
1세대 3주택자 다주택자 임대소득 종합소득세 대상 여부 및 임대소득세 계산방법 1세대 3주택 이상인 다주택자가 임대소득이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 대상인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임대소득세 과세여부는 주택 수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3주택자 이상의 경우에는 월세뿐만 아니라 보증금/전세금에 대해서도 과세대상이 됩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임대소득 종합소득세 신고 핵심정리임대소득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 여부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과세/ 비과세 대상 여부는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유 주택수에 따라 과세 대상 여부가 달라지게 됩니다. 국세청 임대소득 과세대상 설명  1세대 3주택 이상인 경우 모든 월세 수입은 기본적으로 과세대상입니다. 추가적으로 비소형주택이 3채 이상이고 보증금과 전세금의 합계 중 3억원을 초과하는 금액 역시 과세대상 입니다.. 2024. 5. 9.
주택임대소득 종합과세 분리과세 결정세액 자동 계산기 주택임대소득이 있다면 매년 5월 임대소득에 대한 세금을 내셔야 합니다. 최근에는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있으면서 주택임대를 통해 부가적인 수입을 얻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으로 임대소득세를 신고 시 종합과세가 나을지 분리과세가 나을지 고민이신 분들을 위해, 종합과세와 분리과세 임대소득세를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계산기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임대소득세 대상여부 및 종합과세 분리과세에 대한 설명은 아래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임대소득 종합소득세 신고 핵심 요약 주택임대소득 종합/분리과세 세액계산 비교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세금 신고 시, 주택 임대 총수입금액이 2천만원 이하인 경우 종합과세와 분리과세 중 선택할 수가 있습니다. 국세청에서는 아래와 같이 주택임대소득 종합/.. 2024. 5. 9.
1세대 2주택자 임대소득 종합소득세 대상 여부 및 임대소득세 계산방법 1세대 2 주택자가 임대소득이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 대상인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임대소득에 대한 과세여부는 주택 수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그렇기에 일률적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마다 다르게 적용되오니, 아래에서 자신의 상황에 맞춰 과세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임대소득 종합소득세 신고 핵심정리임대소득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 여부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과세/ 비과세 대상 여부는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택의 보유수에 따라 임대소득 과세여부는 달라지게 되며, 부부의 경우 주택 수는 합산하여 계산하시면 됩니다.  국세청 임대소득 과세대상 설명  1세대 2 주택인 경우 모든 전월세의 보증금과 전세금은 과세대상이 아닙니다. 다만 월세의 모든 수입은 과세 대상이 됩니다. 그렇기 때.. 2024. 5. 8.
1세대 1주택자 임대소득 종합소득세 대상 여부 1세대 1주택자가 임대소득이 있는 경우 종합소득세 대상인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임대소득에 대한 과세여부는 주택수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그렇기에 일률적으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마다 다르게 적용되오니, 아래에서 자신의 상황에 맞춰 과세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임대소득 종합소득세 신고 핵심정리임대소득 종합소득세 과세 대상 여부 주택임대소득에 대한 과세/ 비과세 대상 여부는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택의 보유수에 따라 임대소득 과세여부는 달라지게 되며, 부부의 경우 주택 수는 합산하여 계산하시면 됩니다.  국세청 임대소득 과세대상 설명  기본적으로 1세대 1주택인 경우 전세인 경우에는 과세대상이 아니며, 월세인 경우에도 해당 주택이 기준 시가 12억원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 2024. 5. 7.
주택임대소득 종합소득세 간주임대료 계산 주택임대소득을 계산할 때 전세인 경우에는 세금을 내지 않는다고 생각하시지만, 1세대가 보유하고 있는 주택수가 3주택 이상인 경우에는 전세도 임대소득세 대상이 됩니다.  주택임대소득을 계산할 때 수입금액은 월세와 간주임대료를 합산한 금액입니다. 그렇기에 전세인 경우 간주임대료를 계산하는 방식을 알아야 합니다. 아래에서 주택임대소득 종합소득세 계산을 위해 간주임대료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주택임대소득 종합소득세 신고주택임대소득 간주임대료 계산 주택의 간주임대료를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주택의 간주임대료를 구할 때는 보유하고 있는 주택의 보증금을 합산한 뒤 3억을 공제하고 계산하게 됩니다. 이 때 임대일 수에 비례하여 간주임대료를 산출하기 때문에 임대일수가 같다면 보증금이 가.. 2024. 5. 7.
반응형